깃허브 연동도 해놓으려고 한다.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하나 생성하고 vscode 터미널에 명령어를 친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wlrn566/Flutter_Movie_App.git
내가 만든 레포지토리와 연동을 하는 것이다. 이 때 터미널은 프로젝트 폴더에 위치해 있어야한다.
git remote -v
이 명령어로 연동이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vscode 의 이렇게 생긴 소스제어 탭에 들어가 레포지토리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고 메세지를 작성하고 로컬에 커밋한 다음, 푸쉬 버튼을 누른다.
** 깃 / 깃허브
깃은 로컬에서 작업한 프로젝트들의 버전관리를 위한 것이다. 작업하고 수정하고 했던 프로젝트를 로컬에 저장한다.
깃허브는 깃으로 로컬에 저장한 프로젝트를 원격 저장소로 저장해주는 것이다. 이로써 다른 사람들과 코드, 버전 공유와 협업이 가능해진다.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깃을 통해 로컬에 저장한 코드들을 하나의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이용해 공유하는 것이다.
브랜치를 다르게 해서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하다가 브랜치를 병합해서 완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충돌 (Conflict)이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는 같은 작업공간을 수정 하였을 때 서로 다른 로컬 코드가 병합되었기 때문이다.
둘다 채택할 것인지, 저장되어 있는 버전을 택할 것인지, 저장할 버전으로 수정할 것인지를 정해서 해결해야 한다.
** 커밋 / 푸쉬 / 풀
커밋을 통해 내 로컬에 현재 작업한 프로젝트를 저장한다.
푸쉬를 통해 깃허브 레포지토리에 커밋한 내용들을 올린다.
풀을 하면 깃허브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불러들인다.
'dev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vie_app] 상세페이지 (0) | 2023.01.08 |
---|---|
[movie_app] 네이버 영화 검색 API (0) | 2023.01.08 |
[movie_app] Dio (0) | 2023.01.07 |
[movie_app] home_page 'carousel_slider' (0) | 2023.01.06 |
create [movie_app] (0) | 2023.01.05 |